지식

집단면역 쉽게 이해하기 / 코로나 백신 접종 집단면역 형성?

호잇호잇 2021. 1. 14. 00:28
728x90
반응형


코로나19 백신 시기가 다가오면서 백신을 전국민이 접종을 받게 되면, 집단면역이 형성 될 것이고, 이 집단면역 형성 시기를 앞당길수록 우리 국민들의 삶이 조금씩 숨통이 트이겠죠?

여기서 중요한 건 집단면역이라는 의미인데요.


우선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집단 내에서 면역을 가진 개체의 수가 많아질수록 면역력이 없는 개체가 감염될 확률은 낮아진다. 집단 면역(집단 효과, 공동체 면역, 사회 면역 등)은 집단의 대부분이 감염병에 대한 면역성을 가졌을 때, 감염병의 확산이 느려지거나 멈추게 됨으로써 면역성이 없는 개체(인)이 간접적인 보호를 받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음 읽긴읽었는데,,,
그래서 집단면역이 뭐라는 거지?
할 수도 있어요.

일상생활에서 쓸 일이 없는 어휘들이기 때문일거에요.

한마디로, 코로나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나를 둘러싼 대다수의 사람들(코로나 백신접종으로 면역력 있음) 덕분에 접종 안받았어도 받은 효과를 내는 게 “집단면역”이에요.


쉬운 이해를 위해 단위를 작게 잡고 예를 들어볼게요.

제가 사는 곳이 “사랑읍” 라는 동네예요.

저는 아직 백신을 맞지 못해서 코로나에 대한 항체가 없고, 이는 코로나에 대한 면역이 없다는 것이고 즉,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백퍼 걸릴거에요.

하지만 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랑읍” 주민들이
코로나 백신을 접종 받고, 안정적으로 항체가 형성이 되어 코로나에 대한 면역이 형성되었죠. 즉,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이 되더라고 코로나가 발병하기 전에
몸 속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다 쥭여버리는 거죠!?

그래서 “사랑읍”이라는 동네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침입할 틈이 없는 거에요. 바이러스라는 것은 자신이 빨대꼽고 살아갈 대상이 필요한데, “사랑읍”이란 동네 사람들은 백신을 다 맞고 면역이 생겨서 코로나가 빨대 꼽을 수가 없게 되는거죠!?

이게 집단 면역이라는 거예요. “사랑읍”이라는 집단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어떤 질병에 대한 면역을 가지고 있게 되면서, 그 어떤 질병이 살아남을 틈이 가의 없으니, 자연스레 이 질병이 거의 비실비실대며 맥을 못추고 존재감이 없다 시피하겠죠? 덕분에 백신을 맞지 않는 사람들은 “그 질병에 노출”될 확률이 낮아지면서 그 질병에 걸맂 않게 되는 거죠!




코로나 백신을 맞는 그날까지, 마스크 화이팅!
맞고 나서도 집단면역 확보될때까지도, 마스크 화이팅!

728x90
반응형